오무사의 인생 고민

조기 퇴사가 트렌드?

무사씨 2025. 8. 20. 08:00
반응형

퇴사서를 든 젊은 직장인이 충격받은 표정으로 입사–퇴사 회전문을 바라보는 모습. 회전문 안에는 입사 3개월차, 입사 1년차 직원들이 나가고 있으며, 상단에는 “퇴사 트렌드 실화임?”이라는 문구가 큼직하게 적혀 있다. 오무퇴 블로그용 애니메이션 이미지.

일이 나랑 안 맞아서요…’
신입사원 60%가 1년 안에 나가는 현실. 조기 퇴사가 트렌드가 된 이유, 그리고 우리 모두의 인생정착을 위한 질문.


🧩 조기 퇴사, 나만 그런 거 아님

“너 아직도 그 회사 다녀?”

신입사원이 들어온 지 얼마 안됐는데 또 나가는 경우가 허다해. 

정말 조기 퇴사 빈번하게 일어나도 있는 것을 보면 이게 트렌드임? 의문이 들어. 

sbs 뉴스 보도에 의하면 신입사원 평균 근속 기간

  • 1~3년 61%
  • 4개월~1년 33%
  • 3개월 이하 6%

즉, 33%는 1년도 못 버티고,
심지어 6%는 3개월도 안 돼서 퇴사.

왜 그럴까?
퇴사 이유 1위는 단연코
“일이 나랑 안 맞아서요…”


 👀 한국 사회 전체가 ‘조기 퇴사 앓이’ 중

📉 SBS 뉴스에 따르면,

  • 첫 직장 평균 근속: 18개월
  • 첫 일자리까지 걸리는 시간: 11.3개월
  • 주요 산업군: 숙박, 음식점, 제조업
  • 첫 월급은 200~300만 원 구간이 가장 많음

지난해 대비 고임금 구간이 상승했는데
“일이 안 맞는다”는 이유로
초반에 그만두는 사람이
전체의 절반 이상이라는 거.

근데 멘토링, 포상, 장려금 같은 조기 퇴사 방지 프로그램 운영하는 기업은?
10곳 중 3곳뿐.
기업들의 노력이 좀 더 활발해 져야 될 것 같아. 


🌍 이건 한국만의 이야기가 아님

해외는 다를까?
Nope. 특히 일본, 심각함.

요즘 일본에선 ‘타이파’란 말까지 등장했어.
"이 회사에 쓰는 내 시간, 과연 가치 있는가?"
효율 안 나오면 바로 바이바이야.

일본 청년도 3년 이내 이직률 34.9%.
조기 퇴사 이유는 우리랑 똑같아.
근무환경 불만족, 연봉, 인간관계 문제.

글로벌하게 MZ세대가
“이 회사, 나랑 잘 맞아?”
이 질문 먼저 던지는 시대란 거.


조기 퇴사가 무조건 나쁜가? 

조기 퇴사가 무조건 나쁜 건 아니야.
하지만 아무 생각 없이 반복되면 방황일 뿐.

그러니까 이직 전에 이거부터 생각해보자.

🔍 나, 뭐가 그렇게 불만이었지?

  • 연봉?
  • 일 자체?
  • 팀장 얼굴? (응?)

막연히 “그냥 싫어” 말고
딱 집어서 이유를 찾는 게 핵심.
그걸 못하면, 다음 회사도 그닥일 확률 높음.

💡 내가 진짜 좋아하는 일은 뭘까?

이전 회사에서

  • 언젠가 “이건 좀 재밌네” 했던 순간 있었지?
  • 그걸 떠올려 봐.
    거기서 힌트 나옴.

업무가 아니라
“함께 일하는 방식”이나
“느끼는 감정”일 수도 있어.


현재 회사에 정착 못 하고 있는 나? 그리고 당신?

회사가 싫어도 3년은 채워야 한다고?
그 말, 이제는 좀 낡았어.

중요한 건
“나는 어디에서 뿌리내릴 수 있을까?
이 질문이야.

정착은 시간으로 되는 게 아니고,
내가 내 모습으로 살 수 있는 곳을 찾는 일.

회사가 아닌,
내 인생에 정착하기 위한 선택.
그게 바로 지금 우리가 던져야 할 질문이야.

직장 관련 다른 이야기도 읽어봐. 

👉 https://omutoday.tistory.com/81

 

📩 오무사의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일터에서의 현실과 위로, 매주 한 번 오무사가 전해드립니다.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432899

 

#오무퇴
#조기퇴사
#신입사원퇴사
#직장인고민
#퇴사고민
#회사생활
#커리어전략
#이직준비
#번아웃
#MZ직장인
#인생정착
#퇴사이유
#직장생활꿀팁
#청년고용
#타이파세대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432899

 

page.stibe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