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객관화 없는 팀장? 결국 이직연봉인상률도 꽝 된다! 냉정한 현실 파악부터 리더십까지, 착각의 늪에 빠지지 않는 법을 알려준다.”
너 혹시 ‘착각의 늪’에 빠졌냐? (feat. 자기객관화)
요즘 친한 후배 때문에 진짜 뒷목 잡고 쓰러질 뻔했다.
회사 욕, 성과급 욕, 이직하고 싶다는 푸념까지 매일 반복.
아주 귀에 피딱지가 앉을 지경이야.
칼퇴는 꿈도 못 꾸고,
매출 떨어진다고
보고서만 죽어라 쓴다며 투덜거리는데,
듣는 것도 이제 지겹다.
마침 우리 회사에 후배 직군 TO가 났길래
내가 다니던 전 직장(후배가 지금 다니는 회사)보다 복지나 연봉 테이블이 훨씬 좋아서
“야, 이거 기회다!” 싶어 좋은 정보 하나 던져줬지.
🎯 그런데 문제는…
이 후배자식 첫마디가 뭔 줄 아냐?
“이직연봉인상률 최소 20%는 되야 하는거 아니에요?”
…야, 너 미쳤냐?
고맙다는 말은커녕, 연봉부터 후려치는 이 태도에 순간 말문이 막혔다.
‘생각해보고 싫으면 말라’고는 했지만 곱씹을수록 열불이 나는 거야.
자기객관화는 기본인데,
이렇게 본인이 어떤지는 모르면서
이직연봉인상률만 중요하게 생각하면 결국 커리어도 꼬인다.
내가 알기로 후배 회사 작년 이직연봉인상률은 평균 6% 정도였거든?
근데 어디서 감히 20%를 논해?
본인 스펙이 뭐 화려한 것도 아니고,
대기업으로 슝~ 환승 이직 가능한 능력도 아니야.
심지어 지금 다니는 회사 규모가 우리 회사보다 큰 것도 아니거든.
솔직히 우리 회사 오기에도 조금 부족한 스펙인데, 대체 무슨 배짱으로 저러는지 원.
그래도 지원서 냈다길래 ‘잘했다’고는 했다.
근데 서류 합격 소식은 없었고,
나중에 최종 합격자 스펙 보니까… 와, 현실이 참 냉정하더라.
결국 자기객관화 없이 뛰어든 선택은 결과도 쓰다.
직장생활 3년 넘으면 이제 현실을 직시할 때 아니냐?
자기객관화 없이는 연봉도, 커리어도 제자리걸음이다.
특히 요즘처럼 이직이 보편화된 시대엔
‘내가 원하는 연봉’이 아니라 ‘내가 받을 수 있는 연봉’을 계산해야 한다.
그게 바로 이직연봉인상률과도 연결된다.
후배처럼 망상만 키우다 보면 결국 “왜 난 안 돼?”라는 억울함만 남아.
혹시 너도 ‘착각의 늪’에 빠져있진 않겟지??
🖤 직장인 심리학 TIME
심리학자 *카를 로저스(Carl Rogers)는 말했다.
“진정한 성장은 자기개념과 경험의 일치에서 시작된다.”
즉, ‘내가 생각하는 나’와 ‘남들이 보는 나’가 얼마나 맞는지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이게 안 되면 ‘난 괜찮은데 왜 문제야?’라는 인지부조화에 빠져버린다.
결국 자기객관화 없이는 성장도, 이직연봉인상률 향상도 어렵다.
🏅 리더로 살아남는 법, 진짜 이거다
✅ 냉정하게 현실 파악하기
현재 연봉, 회사 연봉 인상률, 네 스펙… 전부 객관적으로 따져봐.
“난 평범하다”는 걸 인정하는 게 시작이다.
✅ 구체적인 목표 설정
“연봉 많이 받고 싶어요!”가 아니라
“내가 지금 연봉 5% 인상이라도 받을 수 있는 능력이 있나?”라고 묻자.
✅ 꾸준히 공부하고 발전하기
자격증, 강의, 사이드 프로젝트… 뭐라도 해라.
노력 없이 좋은 결과? 없다.
✅ 겸손은 기본
세상은 넓고 고수는 많다.
겸손한 사람만이 제대로 피드백을 받고 성장할 수 있다.
내 후배처럼 ‘자기객관화 OFF’ 모드로 살면,
나중엔 후회만 남는다.
냉정하게 현실을 보고, 조금씩 바꾸자.
그게 결국 네 이직연봉인상률을 끌어올리는 첫걸음이다.
✔ 이직과 관련된 이전 글도 읽어봐
https://omutoday.tistory.com/68
이직고민, 몇 번을 해도 어려운 이유와 현실적 해답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겪는 이직고민. 나만 힘든 줄 알았는데 다들 비슷하더라. 현실적인 방향 찾고 싶다면? 이 글, 꼭 읽어봐.📍이직고민, 나만 그런 거 아니지?“나 진짜 이 회사 더 다녀야 돼?
omutoday.com
📩 오무사의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일터에서의 현실과 위로, 매주 한 번 오무사가 전해드립니다.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432899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432899
page.stibee.com
#오무퇴
#자기객관화
#이직연봉인상률
#연봉협상
#리더십일기
#팀장리더십
#회사생활
#팀장고민
#회사생활꿀팁
#승진후폭풍
#직장생활
#커리어관리
#연봉상승
#리더십공부
#조직생활
#직장인멘탈
#리더되는법
#팀장멘탈관리
#회사심리학
#직장스트레스
'직장인 회사 일기 > 오과장 팀장되다. 리더십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대문자T 아니고 테토녀라고요! (자존감 높은 사람 특징.zip) (14) | 2025.07.17 |
---|---|
테토녀에 끌리는 이유? 너도 테토녀? (9) | 2025.07.16 |
팀장들이 모르는 MZ의 회사원 심리 : MZ 회사생활 가이드 (4) | 2025.07.14 |
회의예절 없는 팀원, 어디까지 참아야 하나? 팀장 킹받는 순간 대처법 (8) | 2025.07.10 |
회의예절 하나로 평가 끝! 직장 인간관계 살리는 회의의 기술 (5) | 2025.07.09 |